2008/07 16

제2의 촛불집회를 막기위한 2MB정부의 3대 장악 프로젝트

1.언론장악 시민 65,245명 최시중 방통위원장 탄핵 촉구 7.17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명박 정부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벌이는 여론통제, 방송장악 시도는 지난 수십 년간 어렵사리 일궈온 ‘절차적 민주주의’를 짓밟고 있다”며 이명박 정부가 언론 장악을 하고 있음을 주장했다. 이어 “특히 방송통신위, 방송통신심의위는 ‘방송통제위원회, 여론통제위원회’로 전락했고 방송통신위의 수장인 최시중씨는 여론통제, 방송장악을 발 벗고 나섰다”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퇴진을 요구했다 구본홍은 누구? MB 고대후배…경선때부터 방송 특보 7.17 사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물리력까지 동원하면서 대표이사에 오른 구본홍씨는 대구 출신으로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나와 정..

인터넷 2008.07.21

노리코의 식탁..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의미란?

어제 우연히 본 영화 '노리코의 식탁'... 영화를 통해 감독이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을 우리 사회의 문제에도 비쳐 볼 필요가 있을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Q「노리코의 식탁」도 그렇고 전작인「수상한 서커스」도 그렇고 가정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렇지 않다. 다만 기능하지 않는 가정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아버지가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자신의 역할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부모와 자식간에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성적이 떨어지거나 부모에게서 야단 맞는 등의 하찮은 일들로 살인이 일어나기도 한다. 부모가 부모의 흉내를 내고 자식이 자식의 흉내를 내는 즉 영화 속의 렌탈 가족 같은 관계다. 이렇게 흉내내고 위장하는 가족이 무너지..

이것저것 2008.07.20

실시간 독도 CCTV "여기는 독도입니다"

http://office.kbs.co.kr/dokdo/ 예전에 1박2일 독도편에서 독도에 CCTV가 설치 되어 있다고 한게 생각나서 찾아 봤습니다. KBS 홈페이지에 독도 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실시간 독도 CCTV와 함께 여러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네요. 여러 독도관련 이슈들에 대해서 돌아볼때 일본이 독도에 대한 망언을 할때만 들끓다가 언론에서 잠잠해지면 또 조용해지고, 정작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이유를 말해보라고하면 확실히 말할 수 없는것이 사실인것 같습니다. 저부터라도 독도는 왜 우리땅이고 일본의 주장은 잘못되었는지 '사진은 권력이다' 솔라리스님 말처럼 A4 5장은 거뜬히 쓸수있는 역사적인 상식과 지식을 가질 수있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인터넷 2008.07.17

TV 녹화 서비스 저작권침해일까 아닐까?

TV 녹화 서비스 Ental Ental은 2007년 1월에 오픈한 TV녹화 서비스 입니다. 인터넷으로 원하는 TV프로그램을 선태하면 이를 고화질로 녹화해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원래 개인 소장을 위한 사적인 복제에는 저작권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점을 이용해서 사적인 복제를 대리해주는 서비스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게 보는 관점에 따라서 저작권 침해 인것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좀 시간이 많이 지났기는 하지만 올해 2월에 MBC가 엔탈을 상대로 한 서비스 금지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받아 들여 졌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서비스가 계속 되고 있는데, 엔탈이 서비스를 계속 강행하는것인지 아니면 MBC측에서 한발 물러난것인지는 잘 모르겠..

테크 2008.07.12

촛불 속 한국 경제 100분토론을 보고

어제 100분 토론을 보면서 생각간것들에 대해서 정리해서 적어 봤습니다. 경제이론이나 정부의 정책들에 대한 잘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이런 정책을 수행해 나가는 자세에 대해서 생각해 봤습니다. 경제 위기는 정부정책들의 정당성을 위한것? 정부는 원유값 상승, 원자재값 상승등등(촛불집회까지 포함해서). 이런 요인들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제가 어렵고 스태그플레이션과 같은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런 외부요인들에 인해서 정말 3차 오일쇼크, 제2의 IMF와 비슷한 지경에 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경제 성장은 더더욱 중요하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뽑인 대통령을 믿고 따르자고 한다. 정부의 이런 의도는 대선때과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어째든 (많은 잘못이 있지만) 경제가 급하니(실제보다 더 어렵..

이것저것 2008.07.11

위기는 기회의 어머니! 새로운 기회의 다음

오늘(08.07.07)부로 다음 뉴스에서 조중동의 기사가 없어졌습니다. 이에 대해 논의된 많은 이야기들 처럼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그냥 매일 보던 뉴스들이고, 매일 보던 기사재목들 이었습니다. 조중동 말고도 이제는 네티즌들의 흥미를 끌 기사들이 널리고 널렸다는것입니다. 저는 이번의 변화가 자의든 타의든 다음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기와 기회는 항상 같이 따라 옵니다. 그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이제 관건이죠. 네이버와의 새로운 차별성의 기회 지금까지는 네이버와 다음이 거의 똑같은 뉴스를 메인에 올려 놨습니다. 뉴스의 출처가 같으니 제목도 똑같고 기사도 똑같습니다. 네이버를 메인 홈페이지로 지정해 놓은 상태에서 사람들은 굳이 다음을 갈 필요가 없었습니다. 어짜피 똑같은 기사들뿐..

인터넷 2008.07.07

열기 식은 구글 애드센스 앞으로의 모습은?

클릭 범위 수정 후 8개월 가입 추천제도 폐지 추천제도 종료예정... 애드센스 열풍으로 뜨거웠던 작년의 분위기와는 180도 달라진 국내 블로그계에서의 어드센스의 위상에 대해 집어 봤습니다. 블로그 성장의 둔화와 애드센스 작년 블로그의 엄청난 정장의 한가운데 애드센스가 있었습니다. 애스센스 대박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이 나돌았고, 이것에 동참하기 위해 수많은 새로운 블로그가 탄생했습니다. 웹2.0등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배경도 여기에 한몫했죠. 하지만 올해는 블로그의 성장세가 많이 둔화 되었다고 합니다. (성장통 격는 블로그, 상업화가 걸림돌-베타뉴스) 애드센스가 작년 블로그의 큰 성장을 이끌었다면, 작년말 바뀐 애드센스 클릭범위 정책의 변경으로 인한 어드샌스 수익률 저하는 올해 블로그 성..

인터넷 2008.07.07

조선일보. 인터넷이 그렇게 탐이 나더냐!

괴담 확산, 1시간이면 '상황 끝' -C일보 인터넷.. 예전에는 없던 새로운 소통의 수단이다. 신문사가 아니더라도 어떤 생각과 의견을 공유하고 나눌 수 있다. 그 힘 또한 조선일보가 밝히는데로 훨신 막강하다. 물론, 단점이 없는것은 아니다. 잘못된 정보가 나돌기도 하고, 왜곡 되기도 한다. 하지만 조선일보가 말하는 것 처럼 나쁜 정보가 왜곡 되는 것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일부를 가지고 인터넷이라는 전체 플랫폼을 부정적인 것으로 만들려는 조선일보의 의도가 참 우습고, 오히려 괴담은 이런 신문사들이 더 잘 만들어 내지 않는가 싶다. 일반화도 이런 일반화의 오류가 없는것 같다. 질문: 아래 데이터는 비례일까 반비례일까? 지금 조선일보의 보도 행태가 참 이렇다. 사실을 적당히 요리해 자신들의 입맛에 맞도..

인터넷 2008.07.07

조중동 다음 뉴스 공급 중단과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조중동의 다음 뉴스 공급 중단은 공정거래법 위반일까? '신문 구독률 시장에서 큰 위치를 가지는 조중동이 단합해서 다음에게 피해를 주기위해 뉴스공급을 중단한다' 라고 볼때 이것이 공정 거래법 위반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공정거래법에서 관련 있는 항을 한번 찾아 봤습니다.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장 시장지배적지위의 남용금지 제3조의2(시장지배적지위의 남용금지) ①시장지배적사업자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이하 "남용행위"라 한다)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상품의 가격이나 용역의 대가(이하 "가격"이라 한다)를 부당하게 결정·유지 또는 변경하는 행위 2. 상품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을 부당하게 조절하는 행위 3. 다른 사업자의 사업활동을 부당하게 방해하는 행위 ... ..

인터넷 2008.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