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 16

간단히 색상 코드 알아내는 방법

블로그를 관리하면서 색상 코드가 필요한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어드센스나 애드클릭스 같은 광고의 색을 지정할때나, 또는 블로그의 배경색을 지정할때 종종 색상 코드가 필요한 경우가 생깁니다. 보통은 그냥 색상표를 검색해서 원하는 색의 코드를 찾아서 넣거나 미리 지정된 색을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블로그나 싸이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을 사용하고 싶을때 문제가 생깁니다. 그 색을 표현하는 색코드를 알아내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때 색코드를 알아볼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첫번째 방법, 간단하게 설명하면 화면을 프린트 스크린해서 그림판에 붙여 놓고 색정보를 통해 확인하는것입니다. 일단 화면을 캡쳐 합니다. 원하는 색이 있는 화면을 열어두고 키보드의 프린트 스크린 버튼을 누릅니다. 이때 간단..

컴퓨터 2008.07.05

꽃으로 태어난 블로그

http://csugrue.com/organicHTML/flash/ 웹싸이트를 꽃으로 표현해주는 싸이트가 있어서 찾아가 봤습니다. HTML,CSS,이미지로 색으 표현하고, 싸이트 구조나 컨텐츠, 페이지수로 꽃의 싸이즈, 가지 같은것을 표현한다고 합니다. 블로그는 메인으로 나와있는 글에 따라서 꽃이 다르게 표현됩니다. 제 블로그는 꽃다발 처럼 뭉쳐서 있네요. 뭘 의미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재미 있네요.. 그리고 다른 싸이트 들도 한번 시범삼아 해봤습니다. 포털 싸이트는 메인에는 구조만 있고 각자 따로 노는것인지 꽃이 암울 하네요. 야후랑 티스토리랑 디씨가 그나마 보기 좋은것 같습니다. 외국에는 이렇게 참 재미 있는 싸이트들이 많이 있는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표현되고 만들어지는데..

인터넷 2008.07.05

이명박 세계 최고의 핵융합기술 KSTAR 갈아 엎다

KSTAR 저거 별 관심없는 사람 엄청 많겠지만 내가 여러분들을 위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1987년 미국, 구소련, EU, 일본 4개국이 ITER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합의한다. 각자가 모두 플라즈마(제 4상태, 고체, 액체, 기체도 아닌 상태입니다) 연구를 어느정도 진행한 상황에서 힙을 합쳐서 제대로 해보자는 시도였다. 1988년 ITER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지만 곧 구소련 붕괴로 재정상태 악화되고 미국이 탈퇴하여 독자개발에 나서면서 ITER 은 존립에 위기를 맞는다. 그러나 EU 와 일본의 지속적인 참여와 미국의 독자개발 실패 후 재가입을 거치며 15년의 연구끝에 2001년 핵융합 설계도가 나오게 된다. 그런데, 그동안 이게 가능한 실험인가를 놓고 매우 말이 많았고 엄청난 비용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이것저것 2008.07.04

내 블로그를 평가 받아보자!!

다음 디렉토리 다음툴바를 통해 정보를 수집해 블로그의 순위를 측정해 주는 서비스 입니다. 다음 디렉토리에 등록되어있는 싸이트에 한해서만 되는것 같네요. 저도 얼마전까지는 안보이다가 최근에 디렉토리에 등록 되었더라구요. 자신의 순위 외에도 개인 블로그 순위도 확인해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웹인싸이트와 같이 상세하지는 않지만 방문자수나 페이지뷰도 볼 수 있습니다. 야후 블로그 검색 야후에서 최근에 서비스하기 시작한 블로그 랭킹 서비스 입니다.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 한다고 합니다. ▲ 블로그 전체 글 수: 해당 블로그 글의 숫자 총계 ▲참조된 글 수: 다른 블로그에서 참조한 해당 블로그 글의 숫자 ▲원본 글 수 : 검색된 내 블로그 글 중 외부 글과 중복되지 않은 글 수 ▲최근 등록일: 해당 블로그..

인터넷 2008.07.03

2008상반기 블로그성장 둔화 어떻게 극복할까?

성장통 겪는 블로그, 상업화가 걸림돌 랭키닷컴 측은 "대부분의 블로그들이 초반에는 열심히 업데이트를 하며 관리에 신경을 쓰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초기 블로그의 특징이 없어지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콘텐츠의 생산보다는 유통이 주로 이루어진다는 측면이 우리나라 블로거의 가장 큰 특징이자 문제라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랭키닷컴 측은 최근 일부 블로거들 사이에서 애드센스, 애드클릭 등 블로그 수익모델로 인한 풀타임 블로거의 증가로 점점 상업화 되어 간다는 지적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여전히 순수 창작 콘텐츠는 적고 많은 블로거들이 기존 작성된 글을 퍼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작년부터 이어진 저작권에 대한 문제가 올해 블로그업계의 뜨거운 이슈가 될 것"이라며, "블로그의 상업화에 대한 ..

인터넷 2008.07.03

촛불집회 과격시위냐? 평화시위냐?

[사설] `6·29’ 새벽에 `5·18’을 보다 “잘못은 대통령이 하고 국민 방패로 찍나” [장정수칼럼] 물대포가 촛불을 이길 수 없는 이유 정부 - 이것이 우리가 바라던 바다 경찰의 과격진압이 먼저냐 촛불시위의 과격화가 먼져나의 '닭이 먼져냐 달걀이 먼저냐'의 논쟁를 떠나 이런 사태까지 오게 되면서 분명히 정부에게 좋은 구실을 주게 되었다. 분명 이것은 정부가 바라던 바다. 정부에게 과격시위는 국민의 목소리가 아닌 일부 이단아이며 진압의 대상, 소위 빨갱이가 되어 버렸고 정부는 이를 이용해 시위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동의를 얻으려 할것이다. 또한 조중동이 그것을 압장서고 있다. 잘못은 대통령이 피보는건 국민과 전경들 촛불 집회 문제의 핵심은 이명박에게 있다. 각종 정책에서 비롯되러 쇠고기 협상에서 터져 ..

이것저것 2008.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