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07 3

위기는 기회의 어머니! 새로운 기회의 다음

오늘(08.07.07)부로 다음 뉴스에서 조중동의 기사가 없어졌습니다. 이에 대해 논의된 많은 이야기들 처럼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그냥 매일 보던 뉴스들이고, 매일 보던 기사재목들 이었습니다. 조중동 말고도 이제는 네티즌들의 흥미를 끌 기사들이 널리고 널렸다는것입니다. 저는 이번의 변화가 자의든 타의든 다음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기와 기회는 항상 같이 따라 옵니다. 그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이제 관건이죠. 네이버와의 새로운 차별성의 기회 지금까지는 네이버와 다음이 거의 똑같은 뉴스를 메인에 올려 놨습니다. 뉴스의 출처가 같으니 제목도 똑같고 기사도 똑같습니다. 네이버를 메인 홈페이지로 지정해 놓은 상태에서 사람들은 굳이 다음을 갈 필요가 없었습니다. 어짜피 똑같은 기사들뿐..

인터넷 2008.07.07

열기 식은 구글 애드센스 앞으로의 모습은?

클릭 범위 수정 후 8개월 가입 추천제도 폐지 추천제도 종료예정... 애드센스 열풍으로 뜨거웠던 작년의 분위기와는 180도 달라진 국내 블로그계에서의 어드센스의 위상에 대해 집어 봤습니다. 블로그 성장의 둔화와 애드센스 작년 블로그의 엄청난 정장의 한가운데 애드센스가 있었습니다. 애스센스 대박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이 나돌았고, 이것에 동참하기 위해 수많은 새로운 블로그가 탄생했습니다. 웹2.0등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배경도 여기에 한몫했죠. 하지만 올해는 블로그의 성장세가 많이 둔화 되었다고 합니다. (성장통 격는 블로그, 상업화가 걸림돌-베타뉴스) 애드센스가 작년 블로그의 큰 성장을 이끌었다면, 작년말 바뀐 애드센스 클릭범위 정책의 변경으로 인한 어드샌스 수익률 저하는 올해 블로그 성..

인터넷 2008.07.07

조선일보. 인터넷이 그렇게 탐이 나더냐!

괴담 확산, 1시간이면 '상황 끝' -C일보 인터넷.. 예전에는 없던 새로운 소통의 수단이다. 신문사가 아니더라도 어떤 생각과 의견을 공유하고 나눌 수 있다. 그 힘 또한 조선일보가 밝히는데로 훨신 막강하다. 물론, 단점이 없는것은 아니다. 잘못된 정보가 나돌기도 하고, 왜곡 되기도 한다. 하지만 조선일보가 말하는 것 처럼 나쁜 정보가 왜곡 되는 것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일부를 가지고 인터넷이라는 전체 플랫폼을 부정적인 것으로 만들려는 조선일보의 의도가 참 우습고, 오히려 괴담은 이런 신문사들이 더 잘 만들어 내지 않는가 싶다. 일반화도 이런 일반화의 오류가 없는것 같다. 질문: 아래 데이터는 비례일까 반비례일까? 지금 조선일보의 보도 행태가 참 이렇다. 사실을 적당히 요리해 자신들의 입맛에 맞도..

인터넷 2008.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