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무료 호스팅 계정에 텍스타일(Textyle) 설치하기
무료 호스팅은 국내에도 몇몇 업체에서 서비스하고 있지만 000webhost.com이라는 해외서비스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속도는 조금 느리지만 디스크용량이라던지 트래픽용량이 월등히 높고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가지고 가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웹사이트에 접속 후 오른쪽 아래 Sign Up을 클릭해 가입페이지로 넘어 갑니다. 가입후 로그인을 위해서는 Sign Up버튼위에 Members Area를 클릭해 로그인하게 됩니다. 처음 보면 로그인을 어디서해야하는지 잘 안보이기때문에 좀 당황스럽죠. 꼭 기억하고 넘어갑니다.
간단히 계정정보를 입력하고 Create My Account를 클릭합니다. 주민등록번호 같은 개인정보를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개의 계정생성이 가능합니다.
계정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초기서버 셋팅을 하게 됩니다. 약1분정도 지나면 자동으로 셋팅이 완료되고 호스팅 정보가 죽~ 보입니다. 여기서 위에 보이는 Go버튼을 눌러 호스팅 설정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제 텍스타일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계정에 업로드하면됩니다. 업로드 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FTP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000webhost.com은 FTP계정이 좀 불안정해 많은 파일을 업로드 하게되면 에러도 많이 생기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FTP를 이용하는 방법은 필요하신분만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텍스타일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텍스타일을 다운로드합니다. ZIP이다 TGZ둘중에 아무거나 다운로드합니다.
이제 앞에서 만들었던 자신의 호스팅계정 설정화면에서 View FTP Details를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FTP계정 정보를 볼수 있습니다.
FTP계정을 사용하기전에 해줘야 할일은 비밀번호 변경입니다. Change account psaaword를 클릭해 새로운 FTP비밀번보를 입력합니다.
FTP 프로그램은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알FTP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알FTP를 열고 접속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봤던 자신의 FTP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자신의 FTP계정 폴더를 public_html로 이 동하고 거기에 텍스타일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텍스타일 파일은 압축을 풀고 업로드 합니다. 이때 XE폴더 자체를 업로드해도 되고 그 폴더안 파일을 전부 선택해서 업로드 해도 됩니다. 차이는 나중에 블로그주소에 xe가 들어가냐 안들어가냐 입니다.
FTP계정은 오류가 많기 때문에 000webhost.com에서 지원하는 파일 메니저 기능을 이용하면 훨신 빠르고 간편하게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파일메니저에는 압축파일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압축을 풀고 파일을 업로드해주는 기능이 있어서 간단히 업로드가 가능하죠. 단 파일 용량이 2M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파일을 잘 쪼개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일단 아래 두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텍스타일 0.9 버전에서 용량이 많이 나가는 스킨을 모두 지워버리고 초기스킨하나만 남겨 놓은 파일입니다. 그래도 용량이 커 두개의 파일로 분할압축했습니다.
000webhost.com의 호스팅 계정 설정화면에서 File Manager을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자신의 웹 디스크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Archives에 위에 제 블로그에서 다운로드 받은두 압축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그리고 위쪽에 체크 버튼을 누르면 업로드가 시작됩니다.
잠시 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업로드가 완료됩니다. 위에 업로드 에러라고 몇개가 뜨는데 별로 신경안써도 됩니다.
2. 텍스타일(Textyle) 초기 설정하기
파일이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자신의 계정에 접속해 봅니다. 자신의 계정은 000webhost.com에 로그인만 하면 보입니다. 보통 [아이디].netne.net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텍스타일은 현재 xe폴더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아이디].netne.net/xe에 접속하면됩니다.
그럼 위와같이 텍스타일 인스톨화면이 나옵니다.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하고 동의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에 라이센스사항에 대해서도 한번 읽어보세요.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퍼미션항목이 불가능으로 나오게 됩니다. 자신의 호스팅계정에 업로드한 폴더의 권한설정을 변경해 줘야합니다.
자신의 호스팅 설정화면에 들어와서 File Manager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publix_html 폴더를 들어가면 우리가 업로드 했던 xe 폴더가 보이게 됩니다. 이 폴더를 체크하고 오른쪽 위에 Chmod를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권한을 707로 바꿔줍니다. 이때 707을 입력하고 마우스로 다른곳을 한번 클릭해줘야 바뀐게 적용이됩니다. 그리고 위에 체크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앞서 텍스타일 인스톨화면으로 오면 모든 조건이 가능해진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설치진행버튼을 클릭합니다.
FTP 정보 입력은 어디에다가 써먹는건지 모르겠군요. 그냥 무시버튼을 클릭하고 넘어갑니다. 나중에 다시 설정할수 있기 때문에 걱정안해도 됩니다.
DB선택화면입니다. 기본적으로 mysql이 선택되어있습니다. 000webhost.com에서 지원하는 DB가 mysql이기 때문에 계속 진행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DB정보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000webhost.com에서 DB를 생성하고 정보를 가져와야합니다. 호스팅 설정화면에서 MySQL을 클릭합니다.
처음에는 DB가 없기 때문에 하나 만들어 줍니다. DB정보를 간단히 입력하고 Create database를 클릭하면 즉시 DB계정이 생성됩니다.
그럼 생성된 DB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정보를 메모장 같은곳에 잘 복사해 둡니다. 텍스타일 인스톨화면에서 이 정보를 입력하면됩니다.
앞에서 얻은 DB정보를 입력합니다. 위에 제가 입력한것 처럼 항목에 맞게 입력합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텍스타일 관리가 계정을 입력합니다. 입력이 끝나면 완료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는 XE 설정화면입니다. 텍스타일은 XE의 모듈로 붙어 있는것이기 때문에 텍스타일 모튤을 생성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위에 Textyle 탭을 클릭하고 화면중앙에서 Textyle 생성탭을 클릭합니다.
접속방법은 Site ID 접속을 선택하고 원하는 블로그 이름을 넣습니다. 아래 관리자 아이디를 입력하고 Textyle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드디어 텍스타일 블로그가 생성되었습니다. Textyle 목록탭에서 텍스타일블로그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블로그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주소 체계가 약간 복잡하기 때문에 주소를 기억해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위에서 봤던 [아이디].netne.net/xe로 접속하게되면 시작모듈이 설정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만 나오고 블로그는 접속이 안됩니다. 이걸 설정하는게 아직 없다고 하는군요. 블로그 주소 이런식으로 생겼습니다
※netne.net 말고 다른 주소로 설정 될수 있으니 혹시 접속이 안되면 000webhost.com에서 한번 확인해 보세요.
참 복잡하죠? 이제 오른쪽위에 관리자 화면으로 넘어가 이것저것 만져보고 글도 써볼 수 있습니다. 스킨을 변경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정을 더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냥 간단한 테스트용으로 사용한다 생각하고 이용해 보세요.
대부분이 설치형 블로그는 이런식으로 설치하게 됩니다. 텍스트큐브나 워드프레스도 시간이 되면 한번식 설치해 보는것도 재미있을겁니다.
'인터넷'의 다른글
- 이전글전문 블로거를 위한 블로그 텍스타일, 뜰까?
- 현재글무료 호스팅 계정에 텍스타일(Textyle) 설치하기
- 다음글요하네스버그 남아공 최대 도시
관련글
-
cogito8ergo4sum 2009.08.28 18:38
정말 초보적인 질문일 수 있지만,
답글
텍스타일 0.9 버전 두 파일을 업로드하고 자신의 계정에 접속해 보라고 하는데... 어디서 하는건가요?
Express engine 이건 또 어떻게 설치해야 하나요? ㅠㅠ-
cogito8ergo4sum 2009.08.28 20:17
http://error.000webhost.com/ 이렇게 뜨는건 업로드가 제대로 안되었다는 뜻이죠?
-
cogito8ergo4sum 2009.08.29 11:46
아이디 여러번 확인해봤는데 안되네요ㅠㅠ
혹시 위에 캡쳐 화면처럼 upload to directory 에서 /public_html로 설정해 줘야 하나요?
계속 번거롭게 질문해서 죄송합니다. 초보라 ㅠㅠ -
cogito8ergo4sum 2009.08.29 13:22
이제야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네요. 덕분입니다.
제 주소는 http://cogito.webatu.com/xe/?vid=cogito8ergo4sum 이구요^^&
http://yfrog.com/5j20090829131829p
알고보니 모두에게 [아이디.netne.net/xe] 주소가 할당되는게 아닌것 같습니다. 혹시나 해서 netne 말고 webatu 로 해서 들어가니까 Xe 설치화면이 나오더라구요... 그 뒤로는 아무문제없이 따라했습니다.
-
-
pico 2009.11.21 11:03
로그인 하면 뭐가 나오긴 하는데 정확하게 어느것이 아이디인지 모르겠습니다.
답글
이것저것 입력해서 들어가 봐도 http://error.000webhost.com/만 뜨네요 ;'ㅅ -
-
-
민정 2010.01.18 18:40
안녕하세요...위에 덧글 보고 이리 저리 접속해봐도 안되는데...-_-
답글
http://[아이디].netne.net/xe/?module=admin 이렇게 한번 접속해 보세요. "netnet.net"
....바뀔 수 있는 부분은 어디서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저도 텍스타일 블로그 만들고 싶은데 꼭 좀 도와주세요 -
민정 2010.01.19 11:52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답글
텍스타일 블로그 주소가 http://minchan83.hostoi.com/xe/?vid=minchan83
이렇게 되는데
minchan83.hostoi.com 왜 이 주소가 아니라...저렇게 긴 주소가 된건지?
변경이 가능한지...아시면 도움 좀 부탁드려요-
위 캡처 그림 뒤어서 두번째 그림을 보면 텍스타일 생성과정을 볼수 있는데 여기에서 'Domain 접속'으로 생성하시면 됩니다. 이때 별도의 도메인 주소가 있어야 겠죠? .com이나 .co.kr이나 주소를 하나 구입하고 만들어야 할것 같네요. co.cc가 1년 무료 사용이니 혹시 도메인 구임 예정이라면 유용할 꺼에요.
독립 도메인으로 생성하면 DNS 서버 설정등 복잡한게 많아요. 저도 독립 도메인으로 한번 만들어 보려고 했는데 이 설정 때문에 성공하진 못했죠. 그래서 저도 000webhost.com는 테스트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죠.
혹시 텍스타일 플랙폼이 마음에 드신다면 http://thoth.kr를 한번 이용해 보세요. 아직 클로즈 베타라 초청장 얻기가 힘들긴 하지만 텍스타일로 만들어진 국내 블로그 서비스죠. 사용하기 편리할겁니다. http://blog.thoth.kr/thoth_forum 여기서 초청장 자주 배포하니깐 확인해보세요.
-
-
-
-
팬입니다^^ 2010.02.09 00:04
제가 000webhost 라는 사이트를 통해
답글
간단한 방명록 같은 게시판을 이용중이었는데,
오늘, 설치도중에 스킨이 맘에 안들어서 (제로보드 스킨이요)
몇번이고 지웠다가 깔았다가 ...그랬거든요?,
그랬더니
http://www.000webhost.com/includes/tos.php
홈페이지 로그인해보니 저 위에 링크가 뜨면서 ,
계정이 삭제되었다고 나오네요...왜이런거에요?
전 뭐 mp3 파일같은거 올린적도없고,
그림같은거 올린적도없는데.. -
PeterJang 2010.02.19 18:04
진짜 이상하네요
답글
Domain f1nes.co1.kr
Username a5148577
Password asdasd1
Disk Usage 0 / 1500.0 MB
Bandwidth 100000 MB (100GB)
Home Root /home/a5148577
Server Name server44.000webhost.com
IP Address 66.96.234.197
Apache ver. 2.2.13 (Unix)
PHP version 5.2.*
MySQL ver. 5.0.81-community
Activated On 2010-02-19 02:13
Status Active
어디에 로그인 주소가 있는지;;;;;;;;
webatu.com net23.net netne.net
이건 어디서 튀어나오는 건지 알수가 없어요 -
-
도와주세요 2010.12.09 04:37
글쓴이님의 글과 자료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ㅠ
답글
여기서 보고 따라하다가 로그인창 까지 띄우는데 성공했지만, 해당 하는 모듈을 찾을 수 없다는 빨간 글씨와 로그인이 되지 않는 문제가 생겨 다른 블로거의 글들을 읽다가 결국엔 이곳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네요..
제가 겪고 있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을 업로드 한후 public_html의 퍼미션을 변경해줄때 707로 해주라고 하셨습니다. 예전에 할 때도 분명히 이렇게 해서 성공했었던것 같구요.
근데 최근 3일간 제가 무슨 짓을 해봐도 erre.000webhost 의 페이지가 뜨는군요.
403 Forbidden Error라고 뜨면서요..
아무래도 퍼미션문제 인거같아요..
707로 everyone 에 rwx가 되있어도 읽고 실행하지를 못합니다..ㅜ 그래서 홧김에 777, 757로 줬더니 우선 설치까지는 되었지만 위에 설명드렸던, 해당모듈이 존재하지 않는다느니 하는.. 에러메시지가 뜹니다.
어떻게해야 이 난관을 해결할 수 있는 건가요...?ㅜ
ps. 혹시 그리고 public_html에 chmod를 할때, 하위폴더까지 모두 변경하게 해야 하는 건가요?? ㅠ
빠른 답변 기다릴게요..ㅜ
감사합니다.. ㅜ